반응형
최고의 설득  ㅡ 카민 갤로  김태훈


하워드 슐츠

이태리 출장   그 경험이 제게 말을 걸었습니다

모든 직원에게 의료보험 제공


시스코 존 챔버스 산호세에 있는줄 알았어요

애플 스티브 잡스 애플이 3가지 제품을 보여드릴 예정입니다


오늘은 어떤 실패를 했니  사라 블레이클리


데니 메이어

로 스쿨 입학시험전에 요리로 전환

저렴한 가격에 좋은 음식을 먹고 싶어 한다

셰이크 섁 Shake Shack

접객 능력 지수 Hospitality Quotient

고객 감동사례

42달러 잔와인 제공

공용 채널 리모컨 배터리 제거 후 전달


3막 구조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문장으로


아이팟에서 유료 다운을 설득하는 내용

이 말은 한 시간이나 걸려서 겨우 4곡위 노래룰 얻게 된다는 뜻입니다. 애플에서사면 4달러도 안되는 노래들을 구하려고 말이죠. 계산해보면 최저 임금에도 못 미치는 일을 하는 샘입니다


바위를 부수는 것이 아니라 성당을 짓습니다

윌넛 힐 병원



직원을 주인공으로 만들어라

스티브 윈

오늘 고객에게 뛰어난 서비스를 제공한 사례가 있습니까?



사우스웨스트 허브 켈러허

문화는 복제할 수 없어 경쟁자가 따라올 수 없다

직원. 고객. 주주

한사람의 인간으로서 직원을 소중히 여깁니다

회장 편지. 전화



1막

영웅 소개. 공감.  문재 발생


2막

긴장고조 난관 등장.  전환점


3막

희망.  갈등 절정.  결론


공감을 얻으면 지갑을 연다

애덤 브라운 ㅡ 연필 하나로 가슴뛰는 세계를 만나다

라오스 아이들을 위한 학교 건설.  사진 이용


아이스 버킷

2012 3  보스턴 컬리지 야구선수 

피트  루게릭 병

뒤를 돌아보지 말고 앞을 내다 봅시다. 세상을 바꾸기 얼마나 좋은 기회인가요

피트의 글을 보고 전 팀 동료 들로 부터 아이스 버킷 시작 도전




픽사의 7단계 스토리 텔링 절차


옛날에 (   )가 있었다  목표  꿈

그는 매일 ()를 한다  안정 평범 공감

그러던 어누날 (   )가 일어 난다  난관

그래서 (  )가 일어 난다

그러다가 마침네 (  )가 일어난다

그 이후 (  )하게 된다  교훈

반응형
반응형

Flume 기본 개념


Flume ???

Flume is a distributed, reliable, and available service for efficiently collecting, aggregating, and moving large amounts of log data (https://flume.apache.org)

대량의 로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집, 집계, 이동하기 위한, 분산되고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서비스

* 분산된 = 수평확장 가능

* 안정적인 = 시스템이 뻗어서 서비스가 안되는 일이 없는

* 신뢰성 높은 =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는


특징 ???

distributed, reliable, and available



Flume을 쓰면 좋은 점

수평확장 가능,

이미 개발된 많은 아답터 사용 가능(가져다 쓰면 끝),

소스까지 수정/활용 가능(오픈소스니까)

==> 쉽게 말해서 많은 량의 데이터를 안정성 높게 수집해야하고,

빨리(필요하면 수정해서) 개발해야하고,

그런데 이렇게 하기 위해 쓸 수 있는 돈이 별로 없을때

적합한 데이터 수집 솔루션


구성 ???

Agent들로 구성,     Agent = Source + Channel + Sink

Sources ???

Syslog, NetCat, Exec, Spooldir, Http, JMS, Kafka ......

==> 한마디로 (이름대로) 왠만한 Log Data는 모두 쉽게 수집할 수 있음.​

Channel Selector 와  Built-in Interceptor들을 사용하여 Contextual Routing을 할 수 있음

(예 : A서버에서 온 메시지는 받은 시간을 붙여서(Interceptor) HDFS 파일(ChannelSelector)로 저장)

Built-in Interceptor : Timestamp, Host, Static, UUID, etc

Channel Selector Type : Replication, Multiplexing


Channels ???

Source와 Sink를 연결해주는 기능

데이터 전송을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해 Transaction 기능(전달 성공/실패) 제공

Built-In Channel : Memory, File JDBC, Kafka ...


Sinks ???

채널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External Repository에 전달

Sink Groups을 이용하여 Load balancing, Failover 가능



이 모든 작업들이 특이한 환경이나 요건이 없으면 configuration 만으로 손쉽게 가능

2011년 Cloudera에서 아파치로 오픈한 이후로 많은 Built-in Adapter 가 개발 되어 사용/수정(Bug Fix) 되었기 때문임.


반응형
반응형

뇌가 섹시해지는 책  ㅡ 도미니크 오브라이언. 김지원

세계 기억력 챔피언인 저자가 노하우를 공개한 책이다.

그냥 책에서 하라는 대로 차근히 따라하면 기억력이 좋아지는 것 처럼 느껴질 수 있다.

이전에도 여러권의 기억력 관련 책을 보았는데

이 책을 보면서 IT에서 사용되는 파일 압축 방법 같은 것이 느껴졌다.

이진수를 외우는 부분은 특히 그렇다. 책에서 소개한 방법과 실제 압축하는 방법이 다르긴하지만...

 

기본적인 암기 방법은 다른 암기력/기억력 강화 방법과 대동소이하다.

특이할 점은 작가가 생각하기에 더 효율적인 방법을 만들어서 사용했다는 것이다.

가령 카드 순서를 기억하려할때 하트, 스페이드, 다이아몬드, 클로버 등을 인물로 치환하여 기억하는 것이다.

이처럼 개인별로 선호하는 (잘 기억나는) 방법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생활에 도움이 되는,

예를 들면 간단히 구입할 물건 외우기, 얼굴 이름 외우기 등 매우 실용적인 내용 들이 많이있다

 

두문법
연상법
링크법
여행법
숫자ㅡ모양 기억법
숫자ㅡ발음 기억법
알파벳 음성기호 기억법
(작가가 만든, 그러나 일반적인/유명한) 도미니크 기억법



알파    브라보  찰리   델타  에코 
폭스트롯  골프  호텔  인디아  줄리엣 

킬로     리마   마이크  노벰버  오스카
파파     퀘벡   로미오   시에라  탱고

유니폼  빅터   위스키   엑스레이  양키
줄루


얼굴 이름 외우기

외모에 따라 연상되는 장소 연결 ㅡ 학구적 분위기 학교
기존의 아는 사람 중 동일 이름의 사람을 그 장소에 기억

얼굴/외모 분위기 ㅡ 연상 장소 ㅡ 기존 아는 사람중 동일한 이름의 사람을 연상 장소에 배치 후 기억 ㅡ 나중에 얼굴/외모를 보고 분위기->장소->아는 사람 이름 순으로 기억남

학구적 분위기 ㅡ 학교 ㅡ 기존 친구 홍길동을 앞의 학교이미지에 배치(이미지화) ㅡ 학구적 분위기의 사람 = 홍길동 연상

 


나라 수도 외우기

앙골라 루안다
바하마 나소
불가리아 소피아
코스타리카 산호세
에스토니아 탈린
피지 수바
모로코 라바트
오만 무스카트
카타르 도하
잠비아 루사카


숫자   이니셜   사람               행동과 소품
00     OO         올리브 오일   시금치 캔을 열고 있다
01     OA         오스왈드 에버리  현미경을 들여다 보고있다
02     OB         
03     OC
04     OD
05     OE
06     OS
07     OG
08     OH
09     ON


아카데미 작품상
1971 프렌치 커넥션
1972 대부
1973 스팅
1974 대부2
1975 뻐꾸기둥지위로 날아간새
1976 록키
1977 애니 홀
1978 디어 헌터
1979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1980 보통 사람들
1981 불의 전차
1982 간디
1983 애정의 조건
1984 아마데우스
1985 아웃 오브 아프리카
1986 플레툰
1987 마지막황제
1988 레인맨
1989 드라이빙 미스 데이지
1990 늑대와 함께 춤을
1991 양들의 침묵
용서받지 못한 자
쉰들러 리스트
포레스트검프
브레이브 하트
잉글리시 페이션트
타이타닉
세익스피어 인 러브
아메리칸 뷰티
2000 글레디에이터

반응형
반응형

플랫폼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 김기찬, 송창석, 임일

비즈니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생활에서도  거래라는 개념은 매우 보편화 되어있다.
그런데 플랫폼이라는 말은 언듯 잘 아는 용어 같으면서도 구체적으로 말하려고 하면 설명이 쉽지 않은 용어이다. 그저 기차역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같은거 아니냐고 반문할 정도다.  이것은 결코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런데 정확히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 되진 않는다.

플랫폼에 대해서 바로 이런 느낌의 분이라면...

또는 플랫폼 관련된 업무를 하시는 분이라면...

이 책을 읽어 보시길 강추한다.

 

혹자는 플랫폼을 1 + 1 = 3이되는 것이라고 도 말한다.

인문학적이고 추상적인 해석일 수 있겠지만

하여간 단순한 합이아닌 어떤 추가적인 가치를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이정의 또한 틀리지 않다.

솔루션적인 측면과 재미측면에서의 플랫폼을 정의하고 특징과 예를 잘 정리해준 책이다.

플랫폼은 이미 우리 생활에 깊이 연관되어있다.

모바일 채팅이나 모바일 쇼핑과 같은 소셜 네트웍/소셜 커머스는 하루에도 무의식적으로 두드리게 되는 플랫폼이다.

이러한 플랫폼을 잘 이애하고 비즈니스에 활용하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필독서라고 할 수 있겠다.



 

-아래는 주요 내용-


플랫폼의 핵심 사고, 솔루션과 재미


하버드 대학의 이안시티 교수의 플랫폼 정의

'생태계 구성원들이 여러 접점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문제 해결책(솔루션)의 집합'


4~5일 동안 먹고 마시고 춤추며 놀기만 하면서 30만명의 고용 효과를 창출하고 10억 달러 이상의 수입을 벌어들일 수 있을까? 말도 안 되는 소리 같지만 그럴 수 있다. 리우 카니발이 실제로 그렇게 하고 있다. 중계권료 등의 간접적인 이익까지 고려하면 32억 달러를 벌어들이는 세계 최대의 축제가 바로 리우 카니발이다. 한마디로 사람들이 잘 놀 수 있는 장을 마련해주어 떼돈을 벌어들이고 있는 것이다.


플랫폼의 접근법

1. 솔루션관점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 월마트, 할인점 등)
2. 양면 시장 관점 (신문, 전화번호부, 결혼 중개업, 신용카드, 공항, 기차역 등)


전자상거래에서 오픈 플랫폼이 잘 작동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제도적으로 여러 가지 보조 장치가 잘 작동해야 한다. 필요한 제품 및 콘텐츠의 검색과 선택을 쉽게 하기 위한 도구, 대금의 결제, 제품 및 콘텐츠의 품질 보장을 위한 방안, 사기의 방지 등이 필요한 보조 장치에 해당한다.


플랫폼의 사용은 무료 또는 저렴하게 하고 광고나 판매 수수료 등에서 수익확보가 바람직


고객이 진정으로 어떤 제품을 원하는가?

고객사가 자신의 고객과 연결하는 것을 도와주어 궁극적으로 우리 회사의 수익을 올리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빅데이터 시대에 월마트가 고만하는 문제들

여러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수나 사건들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결과를 친숙한 그림으로 제시되며(시각화), 이정보는 구매자/머천다이저들이 가장 잘 팔릴 품목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한다. 


감동과 진화가 있는 공간을 만들고,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짜도 많아야 하고, 핵심 상품은 비싸게 제공되도록 포트폴리오 관리가 필요하다.



플랫폼 10계명

1 플랫폼 마당의 법칙

   좋은 플랫폼에는 총무만 있고 회장은 없다

2. 외부성의 법칙

   이용자를 증가시키면 보완재나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한다

3. 지휘자의 법칙

   가. 복잡한 연결 관계를 중개하여 단순하게 해야한다.

   나. 일관된 기준/가이드를 제공하고 계획을 공유하라

   다. 생태계의 니치 창출을 자극하고 활성화 해야한다.

   라. 창출한 가치를 생태계 전체에 걸쳐 공유해야한다


4. 꿀벌의 법칙

   모든 보완재를 혼자 만들어낼 수 없다. 보완재의 생산자들과 협업을 통해 플랫폼의 힘을 키워라


5. 열린 플랫폼과 열린 생태계의 법칙

   개방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품질 관리를 하라. 제약된 개방성


6. 킬러 콘텐츠의 법칙

   사용자 유인을 위한 킬러 콘텐츠가 필요하다 QCDRT(Quality, cost, delivery, reliability, technology)중 어느 하나라도 월등히 나은 점이 있으면 그것이 킬러 콘텐츠다.   위메프, 쿠팡등은 가격이 킬러 콘텐츠 역할


7. 영성과 소통의 법칙

   장기적 로드맵을 생태계 구성원들에게 제공하여 생태계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체계적 혁신 추진. 공감대 형성, 적극적 소통, 갈등관리


8. 경계 존준의 법칙

   가. 핵심기술은 보호하지만 인터페이스 기술은 공유할 것

   나. 산업이나 생태계의 공통 이익을 위해 단기적 이익을 희생할 것

   다. 파트너의 영역에 함부로 침범하지 말것 

   라. 보완재 생산자들이 자신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


9. 중개자 법칙

   가. 저당물의 수호자 역할: 에스크로 서비스가 한 예

   나.정보 유출에 대한 필터의 역할: 서로간에 신뢰를 쌓기 전까지 정보 보호(아마존의 판매자 평가 시스템이 좋은 예)

   다. 신뢰 구축의 중개자 역할을 해야한다.


10. 뜻밖의 재미의 법칙

   해결책 이상의 뜻밖의 재미를 줘라





와서 머물게 하라 -> 기대와 흥분을 파는 장을 만들어라


오게하는 전략 : 최초 시도 전략 = 킬러 콘텐츠

머물게하는 전략 : 재방문 유도 전략 = 뜻밖의 재미/변화, 즐거운 서비스/경험


나가수와 케이팝 스타는 플랫폼


킬러 콘텐츠의 유익성solution, 체험의 유쾌성serendipity


플랫포머는 외부의 개인이나 기업이 가치 창출에 사용할 수 있는 자산과 그 자산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보완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이들의 참여를 통해서 창출된 가치를 바탕으로 비즈니스를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베이 

생태계의 보완재 생성업체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성과 평가 기준 관리(구매자/판매자가 서로 평가하게 한뒤 랭킹을 공개)

파워 셀러

낮은 수수료


업의 본질을 파악하라

업의 본질과 킬러 콘텐츠

업의 본질 파악 방법 : 우리 회사가 없어지면 고객이 어떤 불편을 느낄까? 이것이 본질이자 킬러 콘텐츠


피터 드러거의 미션 명세서

- 사업은 무엇인가?

- 고객은 누구인가?

- 고객에게 주는 가치는 무엇인가?

- 우리의 결과는 무엇인가?

- 우리의 계획은 무엇인가?



기업 생태계의 구성요소

SPICE :필수 구성요소 ICE(investor, customer, employee) + 기업(partner) + 사회(society)

플랫폼 구조 분석에 활용되는 구성 : CDNT/D contents, platform, network, terminal 또는 device

둘을 합친 아키텍처 제시가능

               사회

              파트너

콘텐츠 - 플랫폼 - 네트워크 - 터미널

              혁신가

               고객

              피고용자

 


체크 포인트

1. 고객은 누구인가?

2. 킬러 콘텐츠는 무엇인가? 존재의 이유는 무엇인가?

3. 킬러 콘텐츠를 기획, 개발, 관리하는 무대를 만들고 있는가? (플랫폼)

4. 플랫포머는 누구인가? 총무가 영웅으로 인정받고 있는가? (플랫폼)

5. 플랫폼 총무를 도와주는 에반젤리스트도 키우고 있는가? 소영웅이 있는가?(플랫폼)

6. 에반젤리스트 활동(영업)을 도와주는 부가 서비스인 보완자(complementor) 협력자(collaborator)생태계를 키우고 있는가?(파트너)

7. 생태계의 짝짓기와 수분활동을 도와주는 꿀벌 역할을 하는 촉매를 키우고 있는가?(사회)

8. 콘텐츠를 전달하는 경로의 경쟁력이 있는가?

9. 킬러 콘텐츠를 전달하는 하드웨어/디바이스가 체계적으로 기획되고 관리되고 있는가? 품질관리, 고객만족관리 등 (터미널)

 


플랫폼의 종류

검색기반

전자상거래 기반

소셜 기반

스마트폰 기반


플랫폼 전쟁이 일어나고 있음.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아마존 앱을 삭제함. 이유는 아마존 앱에서 다른 앱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임.


복잡한 전쟁의 양상
     SNS와 전자상거래로 진출하려는 구글
     SNS로 영역을 넓히는 네이버
     검색 엔진을 보유하게된 아마존
     소셜 커머스로 눈을 돌리는 SNS

모든 영역과 부딪히는 스마트폰 기반의 플랫폼


기업의 생산성과 창의성

생산성은 매출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율로 알수있음

창의성은 매출액에서 신제품의 매출 비중으로 알수있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