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buntu 사용을 위한 Docker Build 시 한국시간 사용을 위해 설정했던 방법
기본이미지에 없는 time zone data를 설치해 줘야합니다.
RUN apt-get install tzdata

예전에는 아래 처럼 심볼릭 링크를 통해서 내부 설정이 가능했던 것 같은데 18.04버전에서는 안되었습니다.
tzdata 설치하니까 링크가 작동되는 것 같습니다.
RUN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RUN echo "TZ='Asia/Seoul'; export TZ" >> ~/.profile

그래서 결론적으로 소프트링크와 tzdata 설치를 모두 진행하였습니다.
RUN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RUN apt-get install tzdata
요렇게 해결하였습니다.


아래는 실제 도커피일의 일부 입니다.
FROM ubuntu:18.04
# FROM openjdk:7
# MAINTAINER the yellow lion king <theyellowlionking@gmail.com>

# ### set env
ENV LANG C.UTF-8
ENV LC_ALL C.UTF-8
ENV PYTHONIOENCODING UTF-8
RUN echo $PYTHONIOENCODING
ARG projectpath="/var/www/prjsvc"
ENV PRJHOME $projectpath

RUN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 RUN echo "TZ='Asia/Seoul'; export TZ" >> ~/.profile

# # Set Arguments
# ARG TARGET_SVR=$1
# RUN echo $TARGET_SVR

# ### Creat user when necessary
# # RUN user add -aG sudo flaskdamin
# # RUN su - flaskdamin

# ### Create Project DIR
RUN mkdir -p $projectpath
WORKDIR $projectpath



##### Install software
RUN apt-get clean
RUN apt-get update
RUN apt-get install tzdata
### 한국 시간설정용 데이터

반응형
반응형


집에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가입하고 있고(KT, SKB, LG 등), PC가 있으면 무료로 개인 웹 페이지 호스팅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하고

PC에서 제공할 웹 페이지를 호스팅하는 웹서버를 실행 시켜 놓으면 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공유기 포트 포워딩은 설명 드렸습니다.

https://m.blog.naver.com/iwodus/222324566563

포트 포워딩 SK Broadband, IPtime 공유기 사용 환경 설정 방법





이번에는 PC에 웹서버를 설치 및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 드립니다.

하나씩 따라하시면 쉽게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자, 시작해볼까요!





먼저 설치할 웹서버를 선택하고 다운로드 해야합니다.


웹서버는 웹페이지 요청에 대하여 적합한 웹페이지를 되돌려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면 백화점 창고 관리자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겠네요. 어떤 상품에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그 상품을 창고(Storage)에 가서 꺼내오는 일을 하는 것이지요.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Nginx, Apach, Tomcat, IIS 등등...

요즘 가장 치고 올라오고 있는 Nginx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Nginx 는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후 압축파일을 풀면 nginx.exe 등 파일과 폴더들이 보입니다.

(Mac OS에서는 Homebrew를 이용하여 $ brew install nignx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http://nginx.org/en/download.html



nginx: download
nginx: download Mainline version CHANGES nginx-1.19.10 pgp nginx/Windows-1.19.10 pgp Stable version CHANGES-1.20 nginx-1.20.0 pgp nginx/Windows-1.20.0 pgp Legacy versions CHANGES-1.18 nginx-1.18.0 pgp nginx/Windows-1.18.0 pgp CHANGES-1.16 nginx-1.16.1 pgp nginx/Windows-1.16.1 pgp CHANGES-1.14 nginx-...

nginx.org





설치가 잘 되었는지 테스트 해봅니다.


윈도우즈에서는 압축을 푼 파일중 nginx.exe 를 실행합니다.

맥에서는 터미널에서 nginx를 입력합니다.

브라우저를 열고 http://localhost 를 입력합니다.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보이면 잘 동작하고 있는 것 입니다.




다음에는 웹서버에 페이지 요청이 있을때 어떤 파일을 제공해 줄지, 환경설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윈도우에서는 c:\WnMp\conf\nginx.conf , 맥에서는 /usr/local/etc/nginx/nginx.conf 파일을 수정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수정해야합니다. Nginx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conf' 파일에 보면 아래와 같이 server 설정영역이 있습니다.

이 내용중에 listen 부분의 값을 이전 포스트에서 포트포워딩 했던 포트번호를 적어 줍니다.

그리고 아래 쪽에 root 와 index 부분이 있습니다.

이것은 어느 경로에있는 어느 파일을 기본 값으로 할 지 웹서버에게 알려주는 설정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폴더를 root로 설정하고, index.html을 index 값으로 설정합니다.



listen 옆의 80을 5014(오픈한 포트번호)로 바꾸고, root 옆의 내용을 html 파일이 있는 폴더의 절대경로로 바꿉니다.





설정을 마치고 nginx을 재시작합니다.


터미널에서 $ nginx -s reload 를 입력합니다.

다시 브라우저에서 localhost를 접속해보면 root 와 index에서 설정했던 html 파일의 내용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웹서버를 설치하고 접속하는 포트와 경로, 파일을 설정해 주었습니다.

로컬 PC에서 확인했을때 잘 접속되는지를 확인했으니 이제 포트 포워딩한 주소로 잘 접속되는지 확인합니다.



포트 포워딩때 사용한 외부IP와 포트번호를 이용하여 휴대폰 브라우저에서 접속해 봅니다.


환경설정 전에 로컬PC에서 테스트했을 때와 동일한 디폴트 페이지 화면










환경설정후 새롭게 설정한 index.html 파일을 보여주는 화면



(주의: 설치/설정을 진행했던 동일 PC에서는 외부IP를 활용하여 확인이 안됩니다. 아래의 확인방법을 참고하여 확인하세요.)



행운을 빕니다.

감사합니다.



#무료웹호스팅
#개인홈페이지서버구축
#홈서버구축
#홈웹서버
#nginx
#엔진엑스설치
#nginx설치
#웹호스팅

반응형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는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포트 포워딩 SKBroadband, IPtime 공유기 사용 환경 설정 방법
port forwarding 방법입니다. 

https://bigdatamaster.tistory.com/89



이번에는 설정이 잘되었는지 테스트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 드립니다.



먼저, 가장 흔한 실수/ 잘못은 설정을 진행한 노트북이나 데탑에서 테스트를 하는 것 입니다.



그 다음 실수/ 잘못은 다른 방에 있는 장비로 테스트하는것 입니다.



무엇이 잘 못된 것 일까요?



왜? 안되는 걸까요?



왜냐하면 말이죠--여러 경우가 있겠지만....

앞서 포스팅한 내용도 그렇고,

대부분의 포트 포워딩 설명은 (당연하지만)

외부 인터넷 에서 접속할 때의 상황에 대한 포워딩 설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공유기에 연결된 네트워크, 즉 랜 환경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별도로 다른 설정해주면 가능합니다)



따라서 테스트도 인터넷을 통해 요청을 해야 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요청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휴대폰을 이용하는것입니다.

물론,

여기서도 중요한게 핸드폰에서 와이파이를 끄고 테스트 해야합니다.

안그러면 인터넷을 통해 요청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설정 초기에 기억해 놓은 외부 IP정보와 포워딩 설정한 포트번호를 이용해서 테스트 합니다.



테스트하기 전에 포트로 요청이 들어올때 받아줄 프로그램을 실행 시킵니다.



휴대폰에서 인터넷 앱을 실행시킵니다.

주소창에 위에서 말한 외부IP와 포트를 아래와 같은 형식에 맞추어 입력합니다.

http://외부IP:포트번호


휴대폰 인터넷 앱에서 외부IP와 포트번호를 주소창에 입력한 화면 입니다.





사이트 없음 이나 접속할 수 없음이 나오면 포워딩이 잘못 설정되 것 입니다.

이런경우 처음 부터 설정이 잘되었는지 하나씩 확인해봅니다.


접속에 실패한 경우의 화면



요청받은 프로그램이 결과를 회신해주면 성공 입니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전이라면 간단히 NGINX, TOMCAT 등 웹서버를 실행시키고  포트에 접속하면 웹서버 안내 페이지가 나옵니다.



휴대폰 말고 인터넷에 테더링된 노트북에서 아래의 주소룰 참고하여 포트 오픈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s://canyouseeme.org/"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 https://canyouseeme.org/">
https://canyouseeme.org/


Open Port Check Tool -- Verify Port Forwarding on Your Router
This is a free utility for remotely verifying if a port is open or closed. It is useful to users who wish to verify port forwarding and check to see if a server is running or a firewall or ISP is blocking certain ports. Your IP: Port to Check: Check Port Common Ports FTP 21 SSH 22 Telnet 23 SMTP 25...

canyouseeme.org





추가로....

노트북이나 데탑에서 포트 오픈이 잘되었는지 확인해보는 방법입니다.

윈도우즈경우 cmd 창을 띄우고 netstat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맥에서는 터미널에서  sudo lsof -P -i:포트번호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좋아요,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시공존

(PS: 포트포워딩도했으니 무료로 웹호스팅까지 하시려면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https://bigdatamaster.tistory.com/92

 

무료 웹서버구축 : 집에서 무료로 개인 웹 페이지 호스팅하는 방법

집에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가입하고 있고(KT, SKB, LG 등), PC가 있으면 무료로 개인 웹 페이지 호스팅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하고 PC에서 제공할 웹 페이지를 호스

bigdatamaster.tistory.com



#포트포워딩
#포트오픈확인
#공유기
#포트체크
#포트오픈확인방법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 SK Broadband, IPtime 공유기 사용 환경

Port Forwarding 방법입니다. ​ 집 공유기를 이용해서 외부 인터넷에서오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 특히, 2개의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SKB에 전화해서 물어봐

bigdatamaste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Port Forwarding 방법입니다.

집에있는 와이파이 공유기를 이용해서 외부 인터넷에서오는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특히, 2개의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SKB에 전화해서 물어봐도 설명을 잘 못해주었고 잘 이해 못하는 상담원도 계셔서 한 다섯 번 정도 통화했던 것 같습니다.
결국 인터넷에서 관련된 설명 링크를 찾았다고 보내주어 참고하였습니다. 큰 도움은 안됬어요.
그 만큼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제가 고생을 했기 때문에 다른 분들께서는 고생 안하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부터 하나하나 설명해 드립니다. 따라해보세요.

참 아래 글을 보시는 방법은, 먼저 설명을 적어 놓았으니 간단히 읽어보시고, 그 바로 아래에 관련 이미지를 추가 했어요, 순서대로 보시면서 따라하시면 됩니다.

전체적인 연결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인터넷 -》 공유기1(SKB) -》 공유기2(iptime) -》 PC

전체 구조




먼저 SKB 공유기를 설정합니다.


192.168.25.1 로 접속하면 로그인 창이 나옵니다.
id는 admin, 암호는 공유기 뒷면 MAC 주소+"_admin" 을 입력합니다.
뒷면에 MAC 주소가 안보이는 경우(초기 설정하신 경우) 휴대폰을 통해 접속해서 와이파이MAC 주소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bigdatamaster.tistory.com/119

로그인하고 나면 아래의 화면이 보입니다.
여기서는 인터넷 환경에 있는 IP 주소를 기억해 둡니다. 여기서는 110.12. 으로 나와있는 부분 입니다.
이 번호가 인터넷을통해서 다른 장비가 접근할 때 사용하는 IP번호 입니다.
나중에 설정을 완로한 후 테스트 할 때 필요하니 별도로 적어 놓거나 저장해 놓으시기 바랍니다.

좌측 메뉴 중에서 로컬 랜 설정 부분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의 이미지 오른쪽 화면이 나오는데 이때 접속 리스트를 클릭합니다.

위에서 접속리스트를 클릭하면 접속 리스트 창이 팝업됩니다.
여기에 나오는 IP 주소를 적어 둡니다. 이 IP 주소가 바로 두번째 공유기인 ip time 공유기의 내부 주소 입니다.

아래 화면에서 메뉴 방화벽 -> 포트 포워딩을 클릭합니다.
오른 쪽에 포트 포워딩 리스트가 나오며, 제일 하단에 새로운 포트 포워딩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
로컬 IP 주소는 이전 페이지인 접속 리스트에 나왔던 숫자를 입력합니다.
포트 범위에 외부에서 들어오는 포트중 어떤 포트 번호를 넘길지 적어 주고 설명을 입력후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버튼을 누르고 잠시 있으면 리스트에 추가되어 보여집니다.
(옵션)정상적으로 보이면 왼쪽 메뉴에 있는 재부팅을 클릭/ 실행합니다. 1~2분 기다리면 재부팅이 완료됩니다.

지금까지 작업한 것은 인터넷에서 들어온 요청을 공유기1번에서 공유기2번으로 넘기는 작업을 한 것입니다.

힘내세요!.. 이미 반 이상 완료되었습니다.

이제부터 두번째 ip time 공유기에 설정을 시작합니다.

192.168.0.1 에 접속하면 iptime 로그인 화면이 나옵니다.
초기 설정할때 입력했던 id/password를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관리도구와 설정화면 둘이 보이는 화면이 나올 때 관리도구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오른쪽 위에 보이는 외부IP주소가 공유기1에서 설정한 정보와 같은지 확인합니다.
(주의 !!! 만약에 외부IP 주소가 다른 번호라면 첫번째 공유기에서 다른 곳으로 포워딩 하도록 설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두번째 공유기에서 보이는 번호를 이용해서 다시 첫번째 공유기의 내용을 설정해 줘야 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 포워드 설정을 클릭하면 왼쪽 화면이 보입니다.
왼쪽 아래를 보면 새로운 포트포워드를 등록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내용을 입력 합니다.
현재 접속된 IP주소의 왼쪽에있는 체크박스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현재 접속/사용중인 장비의 IP가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특히 외부포트와 내부포트를 잘 설정해야 합니다.
외부포트는 공유기에서 받는(외부에서 들어올 수 있도록 열어 놓은) 포트 입니다.
내부포트는 내부IP주소의 장비(PC/ 노트북 등)에서 받아들이는 포트입니다.
(저는 혼동을 막기 위해 그냥 같은 포트 번호를 사용했습니다.)
내용 작성후 적용을 클릭합니다.
위의 리스트에 새로 추가된 설정이 보이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지금까지 설명을 따라서 진행하셨으면 이제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봅니다.





최종 오픈을 위한 장비에서 아래의 페이지에 접속한 다음,
위에서 오픈한 포트번호을 이용해서 오픈되어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쉽게 따라하셔서 한번에 잘 설정되셨기를 바랍니다.

설정이 잘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링크에서 설명 드립니다.


https://bigdatamaster.tistory.com/90

포트 포워딩 설정 확인방법  ㅡ SKBroadband, IPtime 공유기 사용 환경 설정 확인 방법

이전 포스팅에서는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포트 포워딩 SKBroadband, IPtime 공유기 사용 환경 설정 방법 port forwarding 방법입니다. https://bigdatamaster.tistory.com/89 ​ 이번에..

bigdatamaster.tistory.com


https://bigdatamaster.tistory.com/92

무료 웹서버구축 : 집에서 무료로 개인 웹 페이지 호스팅하는 방법

집에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가입하고 있고(KT, SKB, LG 등), PC가 있으면 무료로 개인 웹 페이지 호스팅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하고 PC에서 제공할 웹 페이지를 호스

bigdatamaster.tistory.com

감사합니다.


아래에 있는 공감 클릭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잘 안되시면 댓글 주세요.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추가 정보입니다.
1. SKB에서는(KT미확인) 공유기 접속 갯수를 재한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합니다.

2. 포워딩이 됬다가 안됬다가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공유기 재부팅시 사설IP가 유동IP로 재설정되기 때문에 다른 공유기의 IP번호가 바뀌게 됩니다. 이런 경우 잘되던 포워딩이 추가 포워딩 설정을 저장하고 나서 갑자기 안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3. 시스템 포트는 사용에 주의하세요.
포트번호 1번부터 1024번까지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포트 번호 입니다. 따라서 포트 포워딩에 사용시 주의해야합니다. 안전하게 2000번 이상의 포트번호를 사용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아래 댓글도 참고하세요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