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가입하고 있고(KT, SKB, LG 등), PC가 있으면 무료로 개인 웹 페이지 호스팅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하고
PC에서 제공할 웹 페이지를 호스팅하는 웹서버를 실행 시켜 놓으면 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공유기 포트 포워딩은 설명 드렸습니다.
https://m.blog.naver.com/iwodus/222324566563
포트 포워딩 SK Broadband, IPtime 공유기 사용 환경 설정 방법
이번에는 PC에 웹서버를 설치 및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 드립니다.
하나씩 따라하시면 쉽게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자, 시작해볼까요!
먼저 설치할 웹서버를 선택하고 다운로드 해야합니다.
웹서버는 웹페이지 요청에 대하여 적합한 웹페이지를 되돌려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면 백화점 창고 관리자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겠네요. 어떤 상품에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그 상품을 창고(Storage)에 가서 꺼내오는 일을 하는 것이지요.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Nginx, Apach, Tomcat, IIS 등등...
요즘 가장 치고 올라오고 있는 Nginx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Nginx 는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후 압축파일을 풀면 nginx.exe 등 파일과 폴더들이 보입니다.
(Mac OS에서는 Homebrew를 이용하여 $ brew install nignx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http://nginx.org/en/download.html
nginx: download
nginx: download Mainline version CHANGES nginx-1.19.10 pgp nginx/Windows-1.19.10 pgp Stable version CHANGES-1.20 nginx-1.20.0 pgp nginx/Windows-1.20.0 pgp Legacy versions CHANGES-1.18 nginx-1.18.0 pgp nginx/Windows-1.18.0 pgp CHANGES-1.16 nginx-1.16.1 pgp nginx/Windows-1.16.1 pgp CHANGES-1.14 nginx-...
nginx.org
설치가 잘 되었는지 테스트 해봅니다.
윈도우즈에서는 압축을 푼 파일중 nginx.exe 를 실행합니다.
맥에서는 터미널에서 nginx를 입력합니다.
브라우저를 열고 http://localhost 를 입력합니다.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보이면 잘 동작하고 있는 것 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E7tsU/btq86gUGGJ0/imeIld7AiNwuF6j6ekYzN0/img.png)
다음에는 웹서버에 페이지 요청이 있을때 어떤 파일을 제공해 줄지, 환경설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윈도우에서는 c:\WnMp\conf\nginx.conf , 맥에서는 /usr/local/etc/nginx/nginx.conf 파일을 수정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수정해야합니다. Nginx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conf' 파일에 보면 아래와 같이 server 설정영역이 있습니다.
이 내용중에 listen 부분의 값을 이전 포스트에서 포트포워딩 했던 포트번호를 적어 줍니다.
그리고 아래 쪽에 root 와 index 부분이 있습니다.
이것은 어느 경로에있는 어느 파일을 기본 값으로 할 지 웹서버에게 알려주는 설정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폴더를 root로 설정하고, index.html을 index 값으로 설정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wyRH0/btq88zzbYq5/27epxhIIDV0p33Tk3J0DR1/img.png)
listen 옆의 80을 5014(오픈한 포트번호)로 바꾸고, root 옆의 내용을 html 파일이 있는 폴더의 절대경로로 바꿉니다.
설정을 마치고 nginx을 재시작합니다.
터미널에서 $ nginx -s reload 를 입력합니다.
다시 브라우저에서 localhost를 접속해보면 root 와 index에서 설정했던 html 파일의 내용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웹서버를 설치하고 접속하는 포트와 경로, 파일을 설정해 주었습니다.
로컬 PC에서 확인했을때 잘 접속되는지를 확인했으니 이제 포트 포워딩한 주소로 잘 접속되는지 확인합니다.
포트 포워딩때 사용한 외부IP와 포트번호를 이용하여 휴대폰 브라우저에서 접속해 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mkDo/btq873USC5s/4ipNuCzqk87x8WIjioXub1/img.jpg)
환경설정 전에 로컬PC에서 테스트했을 때와 동일한 디폴트 페이지 화면
![](https://blog.kakaocdn.net/dn/DcYFj/btq868oxeM5/hRUFHOwqSNWqb5Xkpb0MI0/img.jpg)
환경설정후 새롭게 설정한 index.html 파일을 보여주는 화면
(주의: 설치/설정을 진행했던 동일 PC에서는 외부IP를 활용하여 확인이 안됩니다. 아래의 확인방법을 참고하여 확인하세요.)
행운을 빕니다.
감사합니다.
#무료웹호스팅
#개인홈페이지서버구축
#홈서버구축
#홈웹서버
#nginx
#엔진엑스설치
#nginx설치
#웹호스팅